본문 바로가기
#꿀 정보공유

📢 2025년 전세대출 총정리! 이 조건 아니면 대출 안 나옵니다

by 리뷰대디 2025. 7. 2.

 

“전세 재계약인데 대출 또 받아야 하나요?”
“집 한 채 있는데, 전세대출 되나요?”
요즘 부동산 커뮤니티, 부동산 카페에 가장 많이 올라오는 질문입니다.

2025년 6월 28일부터 정부가 발표한 초강력 전세대출 규제가 적용되면서,
이제 전세대출 받기 진짜 쉽지 않습니다.
헷갈리는 규제들,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2025년 전세대출 핵심 변화 요약

항목변경 전변경 후 (2025.6.28~)
수도권 보증비율 최대 90% 80%로 축소 (7월 21일부터)
갭투자자 대출 일부 조건부 허용 전면 금지
다주택자 보증기관별 차등 전세대출 전면 불가
실거주 요건 완화 적용 가능 6개월 이내 전입 필수
재계약(갱신) 은행 재량으로 가능 신규 대출과 동일 심사 적용
 

⚠️ 전세대출 안 되는 경우 100% 정리

1️⃣ 주택 보유 중 & 실거주 안 하는 경우 (갭투자자)
전세대출 신규·갱신 전면 금지
→ 기존 세입자가 나가고, 본인이 들어가 살아도 소용없음
→ 정부는 "전세대출 이용한 갭투자 차단"이 핵심 목적

2️⃣ 2주택 이상 다주택자
→ 수도권·지방 불문하고 전세대출 불가
→ 보유 주택이 주거용 오피스텔이라도 예외 없음

3️⃣ 처분 조건 없는 1주택자
→ 기존 주택을 6개월 이내 처분 조건 걸어야만 대출 가능
→ 단, 실제 처분 계획 없으면 은행에서 거절됨

4️⃣ 전세대출 재계약(갱신) 시
→ 갱신도 ‘신규 대출’처럼 심사
→ 보유 주택이나 실거주 요건 불충족하면 연장 불가


🏠 누가 받을 수 있나요? (2025년 기준 전세대출 가능 조건)

무주택자
→ 수도권이면 보증비율 최대 80%까지 가능
→ 전입 요건만 충족하면 전세대출 실행 가능

1주택자 (처분 조건 + 실거주 요건 충족)
→ 보유주택 처분 서약서 + 6개월 내 전입 조건이 필수
→ 주택 처분 불가능한 상황(재건축, 재개발, 전세 끼고 있음)은 사실상 어려움

청년·신혼부부 전세대출
→ 별도의 정책성 상품은 존재하나, LTV·보증비율 동일하게 적용

지방 비규제지역 전세대출
→ 수도권 대비 심사 완화되었으나, 기본 틀은 동일하게 적용


💸 실전 예시

🔹 A씨 (무주택, 연봉 5,000만 원)
→ 수도권 3억 전세 가능 (2.4억까지 대출 가능)

🔹 B씨 (양천구 빌라 보유, 현재 전세 거주 중)
→ 보유 주택 실거주 아님 → 재계약 불가, 전세대출 연장 거절

🔹 C씨 (1주택 보유, 처분 예정, 실거주 목적)
→ 처분계획서 및 전입 확약 시 일시적으로 가능


🧠 전문가 팁

✔️ 보증기관 조건 반드시 확인
→ HUG / 주금공 / SGI 보증 가능 여부 사전에 체크
→ 최근 은행에서도 "보유주택 조회 → 즉시 거절" 사례 증가 중

✔️ 은행 접수일 기준 적용
6월 27일까지 접수된 건은 구 규정 적용, 그 이후는 신규 규제 적용

✔️ 7월 21일 이후 계약이면 보증비율 80% 적용됨
→ 대출한도 최대 10% 줄어드니, 계약일 기준 조정 가능하면 조정 추천


✅ 한줄 정리

이제 전세대출도 아무나 못 받습니다.
조건 안 맞으면 재계약도 대출 거절될 수 있으니 꼭 사전 체크하세요!